티스토리 뷰

 

계면 활성제를 쓰면 우리 몸에 쌓인다고? 경피독이라고?

안녕하세요 이것 저것 써보고 있는 자아D 입니다.

오늘은 경피독에 대해서 써볼까 합니다.

경피독

경피독(經皮毒)은 천연 유래 성분이 아닌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공산품들이 마치 독극물처럼 피부흡수 시 독성(경피독성)을 나타내며, 이것이 물질의 종류에 관계없이 광범위하게 체내에 유입, 쉽게 배출되지 않고 누적된다는 내용의 유사과학이다. <나무위키>

일본에서 온 유사 과학 경피독

 

경피독의 주장

샴푸나 화장품, 세제 등에 들어있는 합성 화학물질이 피부를 통해 흡수되어서 몸속에 독성물질이 쌓이는 현상이라 주장하는 것으로 일본의 다케우치 구메지와 이나즈 노리히사가 자신의 저서 <경피독>에서 처음 사용한 말입니다. 합성 화학물질인 농약, 계면활성제, 색소, 향료 등이 피부나 두피를 통해 몸 속에 들어와 각종 여성질환, 아토피 등을 일으킨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경피독의 설명 그림

"경피독"이라는 단어는 화장품이나 세제를 사용하면 피부를 통해 화학 물질이 체내로 흡수되어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다는 생각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이 주장을 뒷받침하는 과학적 증거는 거의 없습니다.

사실, 피부는 신체의 가장 큰 장기이며 훌륭한 장벽 역할을 합니다. 대부분의 화학 물질은 피부를 통해 체내로 흡수되지 않습니다. 흡수되는 화학 물질의 양은 종종 매우 적으며 일반적으로 해롭지 않습니다.

계면활성제가 문제?

 

계면활성제는 화장품과 세제에 흔히 사용되는 화학 물질의 한 유형입니다. 계면활성제는 물을 섞는 데 도움이 되며 먼지, 기름 및 박테리아와 같은 불순물을 제거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계면활성제는 일부 사람들에게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계면활성제가 건강에 해로운다는 과학적 증거는 없습니다.

글을 마치며

경피독에 대한 우려는 종종 유사 과학에 의해 부추겨집니다. 유사 과학은 과학적 증거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는 주장입니다. 유사 과학은 종종 건강 보조제, 영양 요법 및 기타 대체 의학과 관련이 있습니다.

유사 과학은 종종 매력적이고 설득력 있지만 건강 결정을 내리기 전에 조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유사 과학이 뒷받침되는 과학적 증거가 없는 경우 사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