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이것저것 써보고 있는 자아 D입니다.
오늘은 인기 드라마 악귀에서 오정세에게 붙은 어둑시니에게서 김태리가 구하는 내용이 방영되었는데요. 이 어둑시니에 대해서 좀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둑시니
한국 민담에 등장하는 요괴입니다. 어덕서니, 아독시니, 아둑시니라고 불립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어둑서니'로 등재되어 있다고 합니다. 다만 두억시니처럼 귀신이라고 정의된 것은 아니고, '어두운 밤에 보이는 헛것'이라는 의미로 등재되어 있습니다.
고려시대에 기록되기 시작하여, 조선시대에 요괴로 정착했다고 합니다. 또한 같은 한국 요괴인 그슨대와 상당히 비슷한 요괴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어둑시니는 단순히 놀라게 하는 '요정' 같은 존재에 가까운 반면에, 그슨대는 사람을 직접 죽이는 '악귀'에 가깝다는 차이점이 있다고 합니다.
어둑시니는 기본적으로 어둠을 상징하며, 사람이 지켜보고 있으면 점점 커집니다. 계속 바라보거나 올려다보면 올려다볼수록 더욱더 커져서, 마지막에는 사람이 깔려버리게 된다고 합니다. 반대로 그렇게 커지고 있는 것을 억지로 내려다보면 점점 작아져 마지막에는 다시 사라지게 된다고도 합니다.
또한 시선을 돌려 버리고 무시해 버리면 끝인, 관심을 주지 않으면 사라져 버리는 요괴입니다.
어둑시니 유래
어둑하다'라는 말은 '어둡다'라는 의미의 말에, 신위(神位)에서 비롯된 귀신을 뜻하는 귀화어 '시니'가 합쳐진 말입니다.
그래서 옛 문학에는 '어둑시니처럼 어두웠다'라는 표현이 가끔 등장하기도. 또 어둑시니는 장님을 일컫는 말이기도 합니다.
고려시대의 수호신이었다는 말이 퍼져있으나, 이는 시니(신위)라는 단어의 무게감만 보고 누군가가 창작한 설정이 퍼진 것입니다. 어둑시니는 어둠 그 자체가 주는 경외적인 심상을 표현하는 단어에 가깝다고 합니다.
고로 어둑시니의 개념은 어둠, 혹은 어둠에 대한 공포심 그 자체라고 생각하면 될 것입니다. 물론, 판타지 혹은 시적인 비유에서 쓰는 것 자체는 매우 권장되는 단어입니다.
바라볼수록 점점 커지는 건 어둠에 대한 인간의 공포를 형상화한 것으로, 어둠에 대한 근본적인 두려움이 커지는 것을 경계하는 것입니다. 어둑시니의 본질은 인간의 마음이 만들어낸 허상에 불과하다는 것입니다. 물론, 이건 퇴치 담을 중심으로 본 해석이고, 시니라는 단어가 붙은 만큼 어둠을 퇴치할 대상으로 보기보다는, 어둠 그 자체가 지닌 신비성도 강조하는 단어입니다.
글을 마치며
보통 어둑시니라면 검은색의 실루엣으로만 보이는 게 보통인 이미지입니다.
아니면 검은색을 상징하는 까마귀의 의인화되어서 나타나기도 합니다.
많은 애니메이션에도 자주 등장하는데요. 그중 인기있는 만화 신비아파트에서도 등장 하였습니다.
우리 나라 전통 요괴라고 해야하나요? 우리나라 귀신이라고 해야할까요?
우리나라 귀신 어둑시니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다음에 다른 요괴로 포스팅을 해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