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이것저것 써보고 있는 자아 D입니다.
옛날에는 하루에 몇 끼를 먹었을까요? 돈많은 양반들은 하루에 5끼 정도를 먹었다고 합니다. 아침에 일어나서 간단한 죽같은것을 먹고 9시쯤 아침을 먹고 다시 1시쯤 점심을 먹고 6시쯤 저녁을 먹고 자기전에 야식을 먹는다.
그러나 보통 평민들은 몇끼를 먹을까요?
바로 두 끼입니다. 아침저녁 이죠 그래서 조선시대 밥상을 보면 밥양이 엄청 많은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이는 하루 두 끼를 먹으니 그런 것입니다.

현대인은 하루 몇 끼
하루 몇 끼 드시나요? 한국인 성인남녀 절반 이상은 하루 평균 두 끼 정도를 먹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성인 남녀 7천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한국인의 취식 횟수는 하루 평균 2.4회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53.7%가 하루에 두 끼를 먹는다고 답했습니다. 세끼를 먹는다는 답변은 40.4%였고, 한 끼만 먹는다는 답은 5.1%에 그쳤습니다.
식사 횟수는 남성보다는 여성이 적었고, 젊은 층일수록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고 합니다. 여성은 하루에 두 끼를 먹는다는 답변이 57.8%였지만 남성은 49.6%로 더 적었습니다.
하루 두 끼 나이별
연령대별로 하루에 두 끼를 먹는다는 답변 비율은 20대(61.4%)에서 가장 많았습니다. 30대(58.8%), 40대(56.5%), 50대(53.2%), 60대(41.6%) 순이었다고 합니다.
한 끼만 먹는다는 답변도 20대(7.5%)에서 가장 많았고 60대(3.4%)에서 가장 적었습니다. 또 주중(52.2%)보다는 주말(55.3%)에 두 끼를 먹는 경우가 더 많았습니다.
요일을 떠나 한국인이 가장 많이 챙기는 끼니는 저녁(71.0%)이었습니다.
즐겨 먹는 메뉴
남성은 아침(48.1%), 점심(62.6%), 저녁(73.5%) 등 정해진 시간에 밥을 먹는 경우가 많았지만, 여성은 아점(42.3%)과 점저(23.9%) 등 생활 방식에 맞춰 유동적으로 끼니를 챙긴다는 응답자가 많았습니다.
가장 즐겨 먹는 메뉴는 한식입니다. 이밖에 아침으로는 베이커리류(39.2%), 샐러드·요구르트·과일류(29.3%), 점심으로는 면류(28.8%), 분식류(28.6%), 저녁으로는 고기·구이류(41.1%)를 각각 많이 찾았습니다.
야식으로는 치킨(53.9%), 라면(28.5%), 피자(25.7%) 등 순으로 인기가 있었습니다.
글을 마치며
많은 분들이 아침을 안 먹는 사람이 많았습니다. 아점과 점저 같은 신조어들이 생기면서 하루 두 끼를 먹을 때도 있습니다.
옛날처럼 하루 두 끼 문화로 다시 회기 할 것 같습니다.
조선시대의 두 끼처럼 현대인들도 두 끼를 먹고 있습니다.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