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이것저것 써보고 있는 자아 D입니다.

절기마다 매번 무슨 뜻이지 뭐지? 하는 궁금증이 생기게 되는 것 같습니다.

<24절기 중 상강에 대해서 설명한 포스팅>   <==== 24절기 중 상강에 대한 글입니다.

동지는 24절기중 유명한 절기중 하나입니다. 그런데 이번 년에는 동지를 또 애동지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왜 애동지라 부를까요?

동지에는 어떤 풍습이 있었을까요?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애동지

동지(冬至)는 태양이 적도 이남 23.5도의 동지선(남회귀선) 곧 황경(黃經) 270도의 위치에 있을 때를 말합니다. 그래서 양력 12월 22일이나 23일 무렵에 듭니다.

동지는 일 년 중 밤의 길이가 가장 길고 낮이 짧은 날을 말합니다. 양력으로 동지가 음력 동짓달 초순에 들면 애동지, 중순에 들면 중 동지(中冬至), 그믐 무렵에 들면 노동지(老冬至)라고 합니다. 

 

그러니까 동지는 양력 12월 21일 또는 22일로 그 날짜가 고정되어 있는 것입니다. 하나 음력 날짜는 유동적이니 동지는 보통 음력 동짓달(음력 11월)에 드는데 음력으로 동지가 동짓달 초순(1~10일)에 들면 애동지[兒冬至]라 하는 것입니다.

 

애동지는 경북과 강원에서는 애기동지, 아동 지라고 하며, 전남에서는 아그동지로 강원과 전남에서는 소동지로도 부그기도 합니다. 

동지 풍습

전통적으로 동지에는 팥죽을 쑤어 먹거나 소똥과 팥죽을 대문과 마당에 뿌리는데, 악귀가 액운을 내쫓는 뜻으로 중국에서 비롯한 것입니다.

중국 고서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를 보면 중국에 공공이라는 사람이 재주 없는 아들을 두었는데 그 아들이 동짓날에 죽어서 역귀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그 아이가 살아 있을 때, 팥을 두려워했으므로 동지날에 팥죽을 쑤어 물리친 일을 따른다는 것이라고 합니다.

동지날-먹는-팥죽
동짓날 먹는 팥죽

비슷하게 동지부적(冬至符籍)이라 하여 뱀 ‘사(蛇)’자를 써서 거꾸로 붙여 잡귀를 막는 속신이 있으며, 팥죽을 쑤어먹지 않으면 쉬이 늙고 잔병이 생기며 잡귀가 성행한다는 속신이 있습니다. 동짓날 날씨가 온화하면 이듬해에 질병이 많아 사람이 많이 죽는다고 하며, 눈이 많이 오고 날씨가 추우면 풍년이 들 징조라고 여긴다고 합니다.

글을 마치며

오늘은 왜 동지를 애동지라고 부르는지 동지날 팥죽을 먹는 이유 팥죽 먹는 풍습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점점 옛 풍습이 사라져 가는 요즘입니다.

동짓날 팥죽 한 사발 어떨까요?

이상하게 동지인 오늘날이 조금 풀리긴 했습니다만 내년에 질병이 많아 사람이 많이 죽지는 아니하겠지요?

그냥 그런 일 생기지 말고 더도 말고 올해보다 조금 나아지는 내년이 되었으면 합니다.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